천재들의 연구실.

20대 30대 재테크 펀드에 대해 알아보자.


주식 부동산 은행적금 등

이제 사회생활을 시작한 초년생들은 다양한 재테크를 시작하게 된다.


물론 욜로를 표방하며

진짜 다써버리는 욜로족도 있겠으나

돈을 굴리는 사람들도 있겠죠.


그래서 재테크를 해보려 하니

은행적금은 이자가 완전 쓰레기라 오히려 물가상승률고려하면 손해이고

주식 부동산을 하자니 잘 알지도 못하고 위험하고


그래서 선택하는게 아마 그나마 수익률은 은행보다 낫고 

주식 부동산 보단 위험성이 떨어지는 펀드를 고려하게 된다.


펀드란 기금이라고 하는건데

투자목적으로 모은돈을 펀드매니저에게 맡겨서 돈을 굴리게 하는 것이다.


자산운용사가 담당하고 은행이나 증권사가 판매(인터넷 펀드 쇼핑도 있음)하며

이에 따라 나는 돈을 맡기고 보수와 수수료를 내게 된다.


즉, 일하느라 바쁘고 투자 지식이 낮은 나 대신

전문가에게 맡기는 건데

원금 손실의 위험도 있으니 결국 그책임은 투자자의 몫.


근데 이게 또 복잡하다보니 많은 사람들이 피하게 되고

그래서 적금은 돈이 안되 금융지식은 없어 이런분들이

에라 모르겠다 하고 걍 욜로족이 되는 사례도 많아보인다.

-


아무래도 제 블로그는 잡 블로그긴 하지만

이 금융카테고리에선 앞으로 전문적으로 돈!! 관련해서 다룰예정입니다.


주식 펀드 부동산등 뭐 거창하고 화려한 전문가만 하는게 아닌

일반인들도 다 할 수 있게끔 쉽게 접근해볼 생각입니다.


걱정안하셔도 되는게 저도 여러분과 다를게 없는 그냥 평범한 직장인이거든요.

함께 잘 굴려보시죠..


그럼 오늘은 간단하게 펀드 종류 몇개만 구분하고 배워보겠습니다

(너무 잡다하니 기본적인거 몇개 알아보고 가시죠.)


1. 거치식 펀드 vs 적립식 펀드


적립식은 적금처럼 매달 돈을 붓는거구요

거치식은 이미 모인 목돈을 굴릴 때 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목돈만들기 vs 목돈굴리기


2. 인덱스 펀드


인덱스펀드는 종합주가지수 펀드라고해서 펀드매니저가 막 사고팔고 바쁜 그런 펀드가 아닙니다,

인덱스는 종합지수를 따라가게 되있습니다.

-


그 이유는 시장을 이기겠다고 아무리 머리쓰고 뭐하고 한다고 꼭 잘하는 것도 아니고

그냥 시장의 흐름에 맞춰가는 그냥 맞춤형 펀드거든요.

장기적으로는 주가가 오를거라는 믿음을 갖고 운영되는겁니다.


3. 주식형 채권형 혼합형


주식형은 주식에투자하는 비율이 높은거고 말그대로입니다.

채권은 채권 혼합은 섞은거.

보수적인 투자자는 채권을 공격적인 투자자는 주식형을 선호합니다.

여기서 서로 더 섞인 형태도 있긴합니다.


4. 공모펀드 사모펀드


공모는 공개적으로 모집하는 거

사모는 특정사람들이 모여서 한거


이유는 펀드는 특정자산에 몰빵할수 없게 되있는데

그 규제를 조금 완화한게 사모펀드입니다. 책임은 니들이 져라 이거죠 규제는 풀어줄테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