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재들의 연구실.

하버드 MBA. 미국 MBA 입학조건. 하버드 MBA 출신인물. 

MBA에선 무엇을 하고 무엇을 얻을 수 있는가?






하버드 MBA란?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Harvard Business School, HBS)은 미국 하버드 대학교의 경영대학원으로 1908년 세계 최초로 2년MBA(경영학 석사) 과정을 제공하기 시작했다. 세계 최고의 경영대학원 중 하나이다.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의 MBA 과정 입학은 스탠포드와 더불어 세계에서 가장 어렵다. 2013-2014 입시기간의 경우 9,543명의 지원자 중 12%만이 합격하였고 이들 중 89%인 936명이 입학하였다. 2014년 가을에 입학한 MBA 신입생들의 GMAT점수 중간값은 730점이고 평균 학부 GPA는 3.67이다.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 MBA 졸업생들은 졸업 직후 주로 컨설팅, 금융이나 기술 분야에 종사한다.


졸업후 3년뒤 평균연봉은 세계 경영대학원 중 가장 높다. 또한 현재까지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은 세계 경영대학원 중 가장 많은 포춘 500 대기업 CEO를 배출했다.






미국 MBA입학조건


1.학부성적


2. GMAT


3. 실무 경력


4. 에세이


5. 추천서


6. 인터뷰






하버드 경영대학원에 입학하기 위해 지원서를 낼 때 써야하는 에세이 질문들 일부.




1. 자신이 지도자가 되어 어떤 일을 한 경험이 있는가?

   상황을 설명하고 지도자로서 했던 역할을 설명하시오.

   그 역할은 얼마나 효과가 있었고, 그 역할을 통해서 무엇을 배웠습니까?




2. 당신이 지금까지 성취한 것 중 가장 중요한 것 세가지를 들고, 왜 그것이 중요한 성취였는지

   설명하시오.



3. 영웅으로서 역할모델로서 존경하는 사람은 누구입니까? 그 사람은 당신의 발전에 어떻게 영향을 끼쳤습니까?






미국 탑 MBA에서 배울수 있는 것들. 경험자들에 말을 요약해봄.



1. 실제 경험과 연관된 학문: 미국탑50위 MBA는 1등부터 50등까지 모든 학교가 기본적으로

  매우 글로벌한 시각으로 학문에 접근한다. 따라서 전세계에서 빠르고 신속하게  

  진행되는 다양한 케이스스터디를 접하게 된다. 



이는 카이스트등 국내 MBA에서 경험하는   바와는 기본적으로 매우 큰 차이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미국탑50위 MBA의 경우  왠만한 교수들이 글로벌기업과 자문계약을 하고 컨설팅을 하는 경우가 많다.


  단순한 연구와 학문만 하는게 아니라 실전 경영진들의 문제를 해결하는 역할을 하고 있기에,

  얻을수 있는 것들이 굉장히 많은 사람들이다.



  한국 경영학 교수들이 하는 컨설팅은 대부분 로컬에 국한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심지어 국내 최고 대기업의 글로벌마케팅전략 수장교수진도 미국 탑50스쿨 MBA에 있는

  교수가 주도하고 있을 정도다.


  MBA는 학문이아니라 실용이기 때문에 실용적 측면에서 얻을 수 있는게 많다.



2. 학습효과 향상:  다양하고 이질적인 언어와 문화 속에서 길러지는 상황 적응 능력과 상대방에 대한 이해도 배가는 결코 유학을 가지 않고서는 쉽게 길러지지 않는 학습능력이다. 문화와 언어차이를 극복하면서 함께 겪어가야 하기 때문에 글로벌적인 시각을 갖게되고 그건 기존의 환경을 벗어나는 큰 생각을 하게 된다.


. 단순 지식의 배가는 한국말로 듣고 쓰며, 보면 되지만, 이런 지식은 굳이 학교를 가지 않아도 얻을 수 있따.

  물론, 수년간 한 전공만 파가며 박사과정을 밟는 사람들에 비해서는 짧은 체류기간이라

  문화적 학습에 문제가 있다고 주장하시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사실상 문화적 학습은

  기간도 중요하나 강도도 중요하죠. 한국에만 있으면 직장 생활하는 사람에 비하여


  미국 탑50MBA는 학생들에게 상당히 글로벌 비즈니스문화 및 환경에 관련된 갖은

  실제적 경험과 체험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많다.


  

3. 글로벌 네트워크 형성: 왠만한 미국탑50위 MBA들은 카이스트MBA에 비해 광범위한

  글로벌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다. 특히, 중국, 일본 등 아시아에서의 미국탑50MBA

  네트워크는 국내 MBA에 비해 매우 좋은 인맥을 형성하고 있다.  점점 나이가 들어 사회생활을 하고

  국제비즈니스를 하면 할 수록 느끼게 된다. 한번도 못 본 동문이라도 미국탑50위 MBA

  는 동문네트워킹을 체계적으로 준비하고 있어 학교에 문의하는 경우 소개를 받는 경우도

  종종 있다. 이는 재학중에는 오히려 못 느끼는 부분이다.


   미국, 유럽, 중국, 일본 등에 사업차 방문하게 되는 경우 인적 네트워크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면 미국 MBA에 문의해서 적절한 동문을 소개받게된다. 


특히 요즘은 중국인에 유학이 무섭다.

그들은 이 동문을 그들의 꽌시처럼 활용한다.





그렇다면 세계최고라는 하버드 MBA가 배출한 인물들은 누구일까?


하버드 MBA 출신인물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 2001-2009

라자트 굽타 맥킨지 & 컴퍼니 CEO 겸 회장 1994-2003

브루스 헨더슨 보스턴 컨설팅 그룹 창업자

리치 레서 보스턴 컨설팅 그룹 CEO 겸 사장 2013-

오릿 가디시 베인 & 컴퍼니 회장 2004-

제이미 다이먼 JP모건 체이스 CEO 겸 사장 겸 회장 2005-

폴 아크라이트너 도이체 방크 회장 2012-

스티븐 슈워츠먼 블랙스톤 그룹 공동창업자

비센테 폭스 멕시코 대통령 2000-2006

안토니스 사마라스 그리스 총리 2012-

로버트 맥나마라 미국 국방장관 1961-1968

헨리 폴슨 미국 재무장관 2006-2009, 골드만 삭스 CEO 1999-2006

폴 브레머 이라크 미군정 최고 행정관 2003-2004, 주네덜란드 미국대사 1983-1986

가비 아슈케나지 이스라엘 방위군 참모총장 2007-2011

밋 롬니 매사추세츠 주 주지사 2003-2007

마이클 블룸버그 뉴욕 시 시장 2002-2013, 블룸버그 L.P. 창업자

마빈 바우어 맥킨지 & 컴퍼니의 실질적인 설립자

로버트 카피토 블랙록 공동창업자

제롬 콜버그 KKR 공동창업자

대니얼 다니엘로 칼라일 그룹 공동창업자

레이 달리오 브리지워터 어소시에이츠 창업자

루 거스너 IBM CEO 겸 회장 1993-2002

메그 휘트먼 휴렛 팩커드 CEO 겸 사장 2011-

제임스 맥너니 보잉 CEO 겸 회장 2006-

제프리 이멜트 제너럴 일렉트릭 CEO 겸 회장 2001-

팀 솔소 제너럴 모터스 회장 2014-

마크 필즈 포드 모터 컴퍼니 CEO 겸 사장 2014-

라탄 타타 타타그룹 회장 1991-2012

제프리 스킬링 엔론 COO 겸 사장 1997-2001

에이미 후드 마이크로소프트 CFO 2013-

A. G. 래플리 프록터 앤드 갬블 회장, 사장 겸 CEO 2000-

스티브 버크 NBC유니버설 사장 겸 CEO 2011-

마이클 포터 경영학자

스티븐 코비 작가, 경영 전문가

살만 칸 온라인 교육가

댄 브리클린 스프레드시트 발명가

로버트 크래프트 크래프트 그룹 창업자

조너선 크래프트 크래프트 그룹 COO 겸 사장

셰릴 샌드버그 페이스북 COO

토마스 티어니 이베이 회장 2015-

마이클 린턴 소니 픽처스 엔터테인먼트 회장 겸 CEO 2004-

로베르 루이드레퓌스 아디다스 CEO 겸 회장 1994-2001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2012-

마크 핀커스 징가 공동창업자

진 홀 가트너 CEO 2004-

미키타니 히로시 라쿠텐 창업자, 현 CEO 겸 회장

윤여을 소니 코리아 사장 2005-2010

김범석 쿠팡 창업자, 현 CEO

비토리오 콜라오 보다폰 그룹 CEO 2008-








4. 미국 탑50위 MBA의 엄청난 공부강도.


1년차에는 눈코뜰새 없이 바쁘다. 모임도 많지만 그보다 공부량이 막대하다. 읽어야할 자료에다가 모국어가 아닌 영어로 준비해야하기때문이다.

1년차는 사실 시간이 부족한것이 현실이다.


2년 내내 다른 인종에 학생들과 팀프로젝트를 하기 때문에 영어를 써야 할일도 많다.



경영교육과 비즈니스의 끝판왕 하버드 MBA.

공부하고 배울것도 많겠지만 무엇보다 전세계에 엘리트들과 경쟁하고 협력한다는 점에서

얻을게 정말 많을 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학비는 싱글기준으로 1억정도 잡아야 한다고 하니 장난아니긴 하네요...



 


.









반응형